가구원 수 따라 다릅니다! 나도 청년도약계좌 대상일까?

청년도약계좌는 개인 소득만 보는 게 아닙니다. 가구 단위 기준이 적용되므로, 혼자 사는 경우와 부모님·형제와 함께 사는 경우 모두 조건이 달라집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지금 가구 기준부터 확인해보세요.

한국 청년이 스마트폰으로 가구원 수와 소득을 입력해 청년도약계좌 자격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

① 가구원 수 기준이란?

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에는 ‘가구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요건이 포함됩니다. 즉 혼자 거주하는 청년과 부모 또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청년은 소득 기준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②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기준 예시 (2024년)

  • 1인 가구: 월 소득 약 598만 원 이하
  • 2인 가구: 월 소득 약 1,020만 원 이하
  • 3인 가구: 월 소득 약 1,331만 원 이하
  • 4인 가구: 월 소득 약 1,604만 원 이하

(보건복지부 중위소득 250% 기준, 2024년 발표 자료 기준)

③ 나는 몇 인 가구에 해당할까?

  • 같은 주소지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모든 가족 구성원이 기준입니다.
  • 부모님, 배우자, 형제, 자녀 등 세대원 포함 여부에 따라 1인 또는 2~4인 가구로 분류됩니다.
  • 단독 거주 중이라면 1인 가구로 판정됩니다.

④ 유의해야 할 자격 판정 기준

  • 주민등록상 동거 여부가 실제 거주 여부보다 우선
  • 가족의 소득 합산이 기준 이상일 경우 가입이 제한될 수 있음
  • 중위소득 기준은 매년 달라지므로 최신 정보 확인 필수

⑤ 자격이 애매할 땐 이렇게 하세요

  • 은행 앱 또는 상담센터에서 가구 구성 입력 후 자동 자격 확인 가능
  • 공동인증서로 소득 자동 조회 시스템 연동
  • 서민금융진흥원 상담센터를 통해 정확한 상담도 가능

결론

청년도약계좌는 가구원 수에 따라 소득 조건이 달라집니다. 혼자 신청할 수 있는지, 가족과 함께 등록된 세대인지 정확히 파악한 후 신청하세요. 조건에 맞는다면 매달 정부기여금까지 함께 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