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바우처는 단순히 전기요금만 지원하는 제도가 아닙니다.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 등 다양한 에너지 형태에 대해 지원이 가능합니다. 단, 사용 방식에 따라 적용 가능 항목이 달라지므로 꼭 확인하고 신청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 외에도 어떤 에너지 항목이 지원되며, 요금차감형과 카드형 방식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1. 전기 외 지원 가능한 에너지원은?
2025년 기준 에너지바우처는 다음 에너지원에 대해 지원합니다:
- ✅ 전기
- ✅ 도시가스
- ✅ 지역난방
- ✅ 등유
- ✅ LPG
- ✅ 연탄
단, **모든 에너지항목이 모든 방식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2. 요금차감형 vs 카드형, 어떻게 다르나요?
- 요금차감형: 고지서 상 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요금 차감 (하절기 전기만 가능)
- 실물카드형: 국민행복카드 발급 후 등유, LPG, 연탄 등 직접 결제 (동절기 전용)
즉, 전기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요금차감형이 간편하고,
등유나 연탄을 쓰는 가정이라면 카드형이 필수입니다.
3. 카드형 이용 시 주의사항은?
- 카드 발급 신청은 동절기만 가능
- 사용 가능한 가맹점은 카드사·공단 사이트에서 확인 필요
- 등유·LPG 구매 시에는 반드시 국민행복카드 사용으로 결제
4. 선택 기준 요약 체크리스트
- 전기만 쓰는 가정 → 요금차감형 선택
- 도시가스·지역난방 이용 → 차감형 또는 카드형 중 택1
- 등유·LPG·연탄 사용 → 실물카드형 반드시 선택
- 하절기 사용 → 무조건 요금차감형(전기만 해당)
- 동절기 사용 → 두 가지 방식 중 하나 선택 가능
자신의 에너지 사용 형태에 맞춰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실수로 맞지 않는 방식으로 신청하면 사용이 제한되거나, 바우처 금액을 활용하지 못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신청 전 반드시 어떤 에너지를 주로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요금차감형 또는 카드형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신청 후에도 가맹점이나 카드사 확인은 꼭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