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재난지역이면 전기·통신비가 진짜 반값이 될까?”
뉴스는 많은데 내 고지서에 찍힐 숫자는 다들 다르죠. 5분 만에 계산 끝내봅시다!
2025년 고시 기준으로 전기·가스·통신·난방까지 생활 필수 공공요금이 최대 50% 줄어듭니다. 하지만 자동 감면·수동 신청이 뒤섞여 있어 놓치기 쉽습니다. 오늘은 주민이 실제로 절감할 수 있는 금액과 신청 순서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전기요금 최대 50% 감면 – 월 60만 원 한도
한국전력 고시에 따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전파 피해 가구는 50%, 반파·침수 가구는 30% 전기요금이 자동 차감됩니다. 한 달 사용량이 120만 원이라면 60만 원만 내면 되는 셈입니다. 청구서 반영은 계량기 검침 주기에 따라 1개월 지연될 수 있으니, 청구서 항목의 ‘재난할인’ 란에 할인액이 찍혔는지 꼭 확인하세요. 만약 누락됐다면 123콜센터(한국전력)로 피해 확인서 사본을 제출해 소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수도·지역난방 – 사용량 30% 할인 + 3개월 납기 유예
도시가스, 수도, 지역난방 요금은 지방공기업 조례에 따라 30% 사용량 할인과 납부 3개월 유예가 동시 적용됩니다. 상·하수도 누진제를 쓰는 지자체는 누진구간 자체가 사라져 실제 할인율이 40% 안팎까지 올라갑니다. 소상공인 상업용 계량기도 피해 확인서만 제출하면 동일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점포 전기·가스 고지서를 따로 챙기세요.
통신·인터넷 요금 – 전액 면제, 알뜰폰은 고객센터 확인 필수
과기정통부는 2025년부터 이동전화 기본 1만2,500원 감면 제도를 전액 면제로 확대했습니다. 초고속인터넷도 50% → 100%로 상향되어 3개월간 무료입니다. 주민등록 주소가 피해 지역이면 통신사가 자동 매칭하지만, 선불폰·알뜰폰은 고객센터에 피해 사실을 추가 인증해야 하니 문자 통보가 안 왔다면 꼭 문의해 주세요.
에너지바우처 20% 인상 + 냉·난방비 지원
기초·차상위 계층이라면 일반 에너지바우처(4인 가구 70만1,300원)에 재난 추가 20%가 더해집니다. 전기·가스·지역난방 중 원하는 항목에 차감되며, 잔액은 다음 해 4월까지 이월됩니다. 행정복지센터·정부24·복지로에서 신청 가능하고, 거동이 불편하면 ‘찾아가는 서비스’로 공무원이 직접 접수를 지원합니다.
신청 체크리스트 – 놓치면 소급 불가!
- 자동 vs 수동 : 전기·통신은 자동, 가스·수도·난방은 신청 필요
- 6개월 이내 신청 : 피해 확인서 발급 후 6개월(연장 3개월) 내 접수
- 전입·전출 타이밍 : 선포일 이후 전출 시 감면 중단, 전입은 5영업일 후 적용
- 명의 일치 : 고지서 명의와 세대주가 다르면 감면 누락 가능 → 고객센터 명의변경 권장
결론
전기 50%, 가스·수도 30%, 통신 전액 면제, 에너지바우처 20% 인상까지 모두 받으면 4인 가구 기준 3개월간 약 80만 원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고지서를 먼저 확인하고 누락된 항목은 바로 읍·면·동에서 피해 확인서를 발급받아 신청하세요. 놓치면 소급이 어렵습니다!